[석사 논문 #11] 논문 작성시 참고 사이트(DBPIA, IEEE 등)
안녕하세요
유영훈 입니다.
최근에 RISS라는 사이트의 사용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하였더니,
몇몇 분께서 클릭을 해주셨었는데요.
검색된 키워드 몇개가 'RISS 같은 사이트' 등으로 검색이 좀 된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지난 RISS 사용 포스팅처럼
자세하게 설명은 드리지 않고, 대신 RISS처럼 논문 작성시 도움이 되실만한 참고사이트를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역시나, 대학원 연구실에 계신분들은 이미 알고 계셨을 텐데요.
처음 시작하시는분들께서는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DBPIA(http://www.dbpia.co.kr/)
: 네이버에서 검색하시고자하는 키워드를 검색하였을 때, 꽤 많은 논문들이 DBPIA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좋은 논문들이 많이 있는데요. 단점이라면, 많은 논문들이 유료라는 점입니다.
그러나, RISS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대학교에서 계약을 맺었다면, 학교 IP로는 무료 다운로드를 하실 수 있습니다.
2. IEEE(http://www.ieee.org/index.html)
: 외국 논문 검색하실 때,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외국 논문이라면.. 영어로 작성이 되었기 때문에 거부감을 느꼈었는데요.
최신 동향이나 연구 진행과정을 파악하시려고 하면 어떻게해서든지 외국 레퍼런스를 참고하실 수 밖에 없으실 겁니다.
그래서 IEEE에서 처음부터 원하시는 키워드를 검색하셔서 논문 작성하시면 더 빠르게 진행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3. Google 학술 검색(http://scholar.google.co.kr/)
: 일반적으로, '구글링'이라는 단어가 나오듯이, 구글은 정말 많은 정보를 가르쳐주는데요.
이 구글 학술 검색에서는 논문만 검색이 되며, 날짜별로 정렬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신 자료를 쉽게 얻으실 수 있으실 거예요.
4. RISS(http://www.riss.kr/index.do)
: 지난 포스팅에 자세하게 작성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
제가 석사 논문을 작성할 때에, 대표적으로 참고했던 사이트를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이러한 사이트를 아는 것은 노력을 조금만 한다면 매우 쉽게 찾아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더 중요한 점은 이 사이트들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가. 인것 같습니다.
제가 논문을 다 작성하고 느낀 것이 있다면.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고, 중심을 잃지 않고 나아가자.
입니다.
엄청난 정보로 인해서, 본인이 최초에 세운 방향이 흔들리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그 최초의 세운 방향이 올바르기 위해서는. 외국 레퍼런스들을 처음부터 참고를 해야지.
방향이 잡히고, 다른 이들도 이를 인정해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IT Studio > [석사 논문] Wi-Fi 핑거프린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사논문 #12] 한국통신학회 논문 준비 (0) | 2015.06.02 |
---|---|
[석사 논문 #10]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 논문 검색방법 (0) | 2015.04.26 |
[석사 논문 #9] 석사 논문 연재에 대해서 (0) | 2015.04.14 |
[석사 논문 #8] 주파수 및 AP 운용모드 선정 (0) | 2015.02.19 |
[석사 논문 #7] 장소 및 실험 장비, 어플리케이션 선정완료 및 활용 (6) | 201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