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Tomcat 비교 / 웹 DB 연동 참고

 

- Apache는 재단이름

 http가 흔히 말하는 아파치 서버

 tocmat은 WAS

- tomcat도 성능이 좋아져서 정적 데이터 처리까지 병행하기도 함

- apache와 tomcat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이유 : apache는 정적 데이터인 html 처리는 가능하나 동적인 데이터인 jsp나 php같은 언어는 처리를 못함. 그런 반면 tomcat은 jsp와 php 언어 처리가능

- 그렇다면 tomcat만 사용하면 되지 않는가? 서비스 동시처리에 한계가 있음. 서비스 레벨을 높이기 위해서는 apache와 tomcat을 각각 사용하는 것이 필요. (연동필요)

 

https://na27.tistory.com/207

 

Apache(아파치) 와 Tomcat(톰캣) 비교 / 서로 연동하는 이유?

Apache(아파치) 와 Tomcat(톰캣) 비교 / 서로 연동하는 이유? Apache와 Tomcat 비교 아파치는 웹서버, 톰캣은 WAS(Web Applcation Server) 연결되는 포트는 아파치는 기본 80포트, 톰캣은 기본 8080포트 정적인..

na27.tistory.com

https://middleware.tistory.com/entry/%EC%9B%B9Web%EA%B3%BC-%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C%97%B0%EB%8F%99

 

웹(Web)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웹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기법의 개요 웹과 데이터베이스의 연동 기법 인터넷 상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입

middleware.tistory.com

 

Posted by 유영훈
,

[AWS 비용 최적화 Best Pratice]

AWS 구본민 매니저 (OpsNow와 같은 툴 추천) / 베스핀글로벌 세미나

www.youtube.com/watch?v=FLDOpTPjOs0

 

베스핀글로벌 김종록 매니저 (AWS 세션 이어서 OpsNow) / 베스핀글로벌 세미나

www.youtube.com/watch?v=2WCwIu7FM98

 

Posted by 유영훈
,

[JSON 개념]
데이터 포맷일 뿐, 통신방법이나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같은 태그대신에 {}, 와 ','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나열.

 

velog.io/@surim014/JSON%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JSON이란 무엇인가?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JavaScript Object Notation라는 의미의 축약어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경량의 DATA 교환 형식 Javascript에서 객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표현식을 의미한�

velog.io

 

Posted by 유영훈
,

[Split Tunnel(스플릿터널) 개념]

VPN 분할 터널링은 사용자가 일부 기기 또는 앱 트래픽은 VPN을 통해 라우팅하고 다른 기기 또는 앱은 인터넷에 직접 액세스하도록 합니다.

출처 : https://www.expressvpn.com/kr/features/split-tunneling

 

High-Speed, Secure & Anonymous VPN Service | ExpressVPN

Top rated VPN for 2020. Unblock websites & protect all your devices. 24/7 support. VPN for Windows, Mac, Android, iOS, routers & more. Try 30 days risk-free.

www.expressvpn.com

 

Split Tunnel은 클라이언트가 SSL VPN에 접속하였을 때, VPN 장비의 공인IP를 가지고 통신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클라이언트 계정에 Split Tunnel 설정에 목적지IP로 아무것도 들어가 있지 않으면 0.0.0.0 으로 모든 대역이 VPN장비 공인IP로 나가게 된다.

 

Posted by 유영훈
,

[무선 네트워크 속도개선 방법][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속도개선 방법(L2, 케이블, 설정 점검)

1. 네트워크 인프라단 개선
1) 10/100/1000 장비에 AP연결 : 100Mbps -> 1Gbps
2) 네트워크 케이블 점검 : cat5e (cat5 : 100mbps, cat5e 부터 1G)
=> 스위치에서 패치판넬까지는 cat5e 인것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나,패치판넬부터 EPS실, EPS~AP 구간은 육안식별이 어려움
=> AP는 로밍이 되므로 업무 외 시간에 1대를 물리적으로 절체해서 노트북 이더넷에 연결하여 인터넷속도가 1G 뜨는 것을 확인


2. 노트북 설정 점검
How To : 노트북에서 5GHz 무선랜 이용하는 방법
http://www.itworld.co.kr/news/129399

=> 노트북에도 802.11ac가 잘 활성화 되어 있었음

3. 무선AP~클라이언트 단 점검
=> 가장 핵심으로 추정이 됨. AP 설정 문제로 추정.
클라이언트 속도가 173.3Mbps로 최대값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노트북들도 마찬가지 값을 보이고 있음.
해당 숫자를 구글링하여 bandwidth가 20MHz일 때 173.3Mbps임을 확인함.
속도 표 :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ac#Data_rates_and_speed
관련 : https://www.cisco.com/c/en/us/td/docs/wireless/controller/technotes/8-6/b_Cisco_Wireless_LAN_Controller_Configuration_Best_Practices.html#concept_33A398DFA66D4A00A406613824456F84

https://community.cisco.com/t5/other-wireless-mobility-subjects/global-change-to-40-mhz-channel-width/td-p/2616239

와이파이 채널본딩 참고 : http://www.bloter.net/archives/129551

 

How To : 노트북에서 5GHz 무선랜 이용하는 방법

현대 공유기와 노트북은 5GHz와 2.4GHz 무선랜을 지원한다. 장애물이 없고 거리가 가깝다면 5GHz가 일반적으로 더 빠른 인터넷 연결 속도를 보인다. 노트북에서 5GHz 무선랜을 이용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요즘 공유기는 대부분 2.4GHz 및 5GHz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 밴드 모델이다. 2.4GHz는 더 먼 거리와 벽과 같은 장애물 환경에서 더 안정적이지만 5GHz는 훨씬 더 빠른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노트북에서 5GHz 주파수를

www.itworld.co.kr

 

[LTE열쇳말]③와이파이 채널본딩

아이폰5 출시를 앞두고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많이 나옵니다. 특히 통신사들로서는 또 하나의 LTE폰이 등장하기 때문에 더 예민할 수밖에 없습니다. LTE를 넘어 더 빠른 무선 인터넷에까지 통신사들의 긴장감은 팽팽합니다. 이번에 할 이야기는 LTE는 아니지만 LTE와 함께 등장한 무선랜 기술 ‘와이파이 채널본딩(WiFi Channel bonding)’입니다. 와이파이 채널본딩은 뭘까요? 한마디로 말하자면 2개의 와이파이 신호를 하나처럼 합쳐서 쓰는 기술입니

www.bloter.net

[무선AP설정 변경]

5GHz 를 먼저 비활성화 처리후, 채널변경, 다시 5GHz 활성화 처리 필요
참고 : https://community.cisco.com/t5/wireless-and-mobility/unable-to-adjust-channel-width/td-p/2638453

고급 > WIRELESS > 802.11a/n/ac > DCA
Channel Width : 디폴트(20MHz)을 Best로 변경해야함

 

Unable to adjust channel width?

Hi We have a 2504 controller which has both 802.11n and ac enabled but the channel width seems to be set to 20Mhz by default. I tried to change it under the Wireless > 802.11a/n/ac > RRM > DCA "Network must be disable to adjust channel width" Which network

community.cisco.com

 

이론상 867Mbps까지 지원가능한데, 866.7Mbps면 거의 풀로 속도가 나오는 것.

주변 환경에 따라 변동은 되나 500Mbps이상은 지속적으로 나옴.

 

무선 네트워크 속도 개선 결과

Posted by 유영훈
,

[보안] SMTP Relay, 안티 스팸서버 로그 테스트(MUA)

 

[SMTP Relay]

요약 : SMTP 릴레이란, 웹 메일상에서 발송이 아닌, 클라이언트(PC)에서 아웃룩 등 MUA가 MTA를 경유하여 MDA로 메일을 보내는 것을 말한다.
메일 릴레이 서버란 이때 경유한 MTA를 말한다.

* MSTP Relay 참고 블로그 : https://medium.com/@jongmin.kim/smtp-relay-fca0d3827cfb
* 메일서버 참고 블로그 : https://zetawiki.com/wiki/%EB%A9%94%EC%9D%BC%EC%84%9C%EB%B2%84,_MTA,_MDA

MUA :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아웃룩, 썬더버드 등)
MTA : MUA로 부터 메일 전달 받는 서버 (메일서버)
MDA : 다른 외부 메일서버로 부터 메일 수신하는 서버 (메일서버)

 

[안티 스팸서버 로그 테스트]

- 확인목적 : 안티 스팸서버 로그가 찍히는 원리가 내부망/외부망인인지, 웹메일/MUA 인지 구분하기 위함.
- 결과 : 내부망/외부망과 관계없이 MUA를 사용하면 로그가 찍힘. (웹메일상에서 발송하면 동일 서버IP로 찍히지 않음)
- 테스트 결과
내부망/웹메일/본인메일주소 발송 : 스팸아웃 로그 안찍힘
내부망/아웃룩/본인메일주소 발송 : 스팸아웃 로그 찍힘

외부망(테더링)/웹메일/본인메일주소 발송 : 스팸아웃 로그 안찍힘
외부망(테더링)/아웃룩/본인메일주소 발송 : 스팸아웃 로그 찍힘

 

출처 : http://techgenix.com/smtprelayinboundoutbound/

Posted by 유영훈
,

[IT일지] 깃허브로 옮길지에 대한 고민

 

깃허브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커밋, 푸시 하는 행위를 자연스럽게 진행하므로

명령어나 절차를 잊지 않을 수 있을 것 같고

 

앞으로 파이썬으로 코딩할 일이 많아질 것 같은데

코드 기록도 편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티스토리를 모두 옮기는 것또한 일이니, 어느 시점에서 끊고

깃허브만 기술블로그로 운영할지 고민중.

 

Posted by 유영훈
,

[보안] 무료 취약점 스캐너 (취약점 점검 무료 툴)

 

 

[무료 취약점 스캐너 소개]

http://www.ciokorea.com/news/20809?page=0,1
1. 오픈VAS(OpenVAS)
2. 레티나 CS 커뮤니티(Retina CS Community)
3. MBSA(Microsoft Baseline Security Analyzer)
4. 넥스포즈 커뮤니티 에디션(Nexpose Community Edition)
5. 시큐어체크(SecureCheq)
6. 퀄리스 프리스캔(QualysFreeScan)

ciokorea에서는 시큐어체크로 고급 취약점, MBSA로 기본 위협을 스캔하는 방식을 제안
* 시큐어체크 : 무료버젼 20여 설정으로 제한, 풀 버젼의 1/4 수준

* 출처 : http://www.ciokorea.com/news/20809?page=0,2
--------------------------------------------------------------------------------------------

MBSA 소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보안 취약점 점검툴인 " Microsoft Baseline Security Analyzer 2.3 (MBSA)


1. MBSA 다운로드 경로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confirmation.aspx?id=19892

2. 사용방법 참고 블로그
https://epansapan.tistory.com/50

MBSA 사용 : msi 파일 설치 후, 로컬 노트북에 스캔을 돌려봄.
   보완해야될 내역들이 나옴. 예를 들어 게스트 계정을 임시로 만들었는데 비밀번호가 취약하다고 나온다거나
           현재 IIS나 SQL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음. (시큐어체크로 고급 취약점 겸해서 점검해볼 필요는 있음)

 

Posted by 유영훈
,

20200207 #깃허브 #깃랩

오랜만에 IT포스팅을 하자면, 형상관리를 위해 깃랩을 설치했다
여러가지 시도해볼 기반이 될 것 같다.
리눅스는 레드햇 계열인 RHEL이나 Centos만 사용하다 시야 넓히기를 위한 우분투로 설치
리눅스 OS라 크게 다른건 없었고 약간 명령어 차이만.

구글링해서 나오는 블로그 참고하면 크게 어려울건 없고
우분투 라이브CD로 인스톨 파일 실행하는것 찾는 것포함 설치에 2시간 소요되고, 깃랩은 1~2시간 걸린것같다. 방화벽에 NAT설정, IP세팅, SSH허용 등 포함해서.

온프레미스 기준으로 os부터 4시간이면 되고, 클라우드면 2시간 정도면 초기세팅 가능.



#우분투 #GIT #GITLAB

Posted by 유영훈
,

[네트워크] MCS 관련 자료[네트워크] MCS 관련 자료 - MCS 표, 변조, SS(공간스트림)[네트워크] MCS 관련 자료 - MCS 표, 변조, SS(공간스트림)

 

[MCS : Modulation and Coding Set]

 

변조 : 모듈레이션, 신호 정보를 전송 매체의 채널 특성에 맞게끔 신호의 세기나 변위, 주파수 등 적절한 파형 형태로 변환하는 것.


2. 변조를 하는 이유

ㅇ 장거리 전송
- 전송 매체에 알맞은 변조방식을 사용하면, 장거리 전송이 가능
ㅇ 다중화 용이
- 변조가 넓은 주파수대역에 걸치므로, 여러 채널을 그룹화할 수 있는 다중화가 가능
ㅇ 안테나 크기 축소
- 주파수를 높임에 따라, 안테나 길이,크기의 단축이 가능
ㅇ 높은 주파수 신호 수용
- 성능 제고를 위한 신호처리(에러제어 등)를 하여 신호 대역폭이 넓어지면,
그만큼 반송파 주파수를 높여야함 즉, 변조 필요가 생김
ㅇ 신호처리 용이
- 필터링 또는 증폭과 같은, 설계요구사항의 충족이 가능한 주파수대로 전환 필요
ㅇ 잡음 내성
- 신호 대역폭을 늘려주어, 잡음 및 간섭에 강인하게함

※ 결국, 변조란 데이터를 담은 신호를 채널에 알맞은 전송 파형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음

ㅇ 파형 변환 유형에 따른 분류

- 아날로그 변조 (Analog Modulation)
.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반송파의 파라미터(진폭,위상,주파수등)를 변화시켜 전송
.. 연속파 변조 : AM(Amplitude Modulation), FM(Frequency Modulation) 등
.. 아날로그 펄스 변조 : PAM(펄스진폭변조), PWM(펄스폭변조), PPM(펄스위치변조)

- 디지털 변조 (Digital Modulation)
. 디지털 정보를 채널에 맞게 여러 가능한 신호(신호집합) 중 하나와 대응시켜 전송
.. 디지털 펄스 변조 : PNM(펄스수변조), PCM(펄스부호변조), DM(델타 변조) 등
.. ASK, FSK, PSK, QAM 등 ☞ 디지털 변조 분류 참조
* 한편, 디지털 변조 방식에서 검출(detection) 또는 복호(Decoding) 라함은,
.. 디지털 변조 파형의 복조 후에 심볼의 결정(판단) 과정을 말함.

ㅇ 효율에 따른 분류
- 대역폭 효율적인 변조
. 아날로그 변조 : SSB, VSB, 아날로그 QAM
. 디지털 변조 : QPSK, 8 PSK, 16QAM, 64QAM 등
- 전력 효율적인 변조 : QPSK, OQPSK, MSK, MFSK 등

* 참고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396

 

[MCS 표 읽는 방법]

Spatial Streams : 공간스트림 번호
VHT MCS Index : 매우 높은 스룻풋 MCS 인덱스 값
Modulation : 변조 방식
Coding Rate : 코딩 기준
=>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설정값에 따른 결과 값

 


[Spatioal Stream : 공간 스트림]

ㅇ 공간 스트림
- 다중 안테나 구성에서 실제 데이터가 연속 흐르는 통로로 간주되는 라디오 링크

* 참고 : http://www.ktword.co.kr/word/abbr_view.php?m_temp1=5091

* 시스코 커뮤니티 - MCS 표 : https://community.cisco.com/t5/wireless-mobility-documents/802-11ac-mcs-rates/ta-p/3155920


[Cisco WLC : 무선AP컨트롤러]

4 11ac VHT rates can be enabled in 0-7,0-8 and 0-9 options only. Any selection from 0 to 7 in the HT rates or disabling all rates will enable 0-7 VHT rate option automatically. 0-8 and 0-9 VHT rates can be enabled under the VHT rates section.

4 11ac VHT 속도는 0-7,0-8 및 0-9 옵션에서만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HT 속도에서 0에서 7까지 선택하거나 모든 속도를 비활성화하면 0-7 VHT 속도 옵션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VHT 속도 섹션에서 0-8 및 0-9 VHT 속도를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Modulation and coding set (MCS) is much simpler in 802.11ac than compared to 802.11n.
802.11ac has only 10 MCS values irrespective of channel width and spatial streams unlike 802.11n.
The fields ’n/a’ are some combinations of modulation, coding and channel width that doesn’t work.
802.11ac transmit beam forming requires that all spatial streams be modulated identically.
802.11ac first wave devices have up to 3SS (spatial streams).

Mandatory and Optional PHY features of 802.11ac
VHT frame format support - mandatory
20, 40 and 80MHz channel support - mandatory
Single-Stream operation MCS 0-7 - mandatory
BCC (Binary Convolutional Coding) - mandatory
160MHz and 80+80Mhz channel operations - optional
Single-stream operation MCS 8 and 9 - optional
2, 3 and 4 stream support (4SS - wave 2) - optional
5-8 stream support - optional (not likely to be implemented anytime soon)
Short Guard interval (400ns) - optional (though optional but is widely supported)
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 - optional
STBC (Space time block coding) - optional
TxBF (transmit beamforming) - optional
Support for MCS 8 and 9 (256 QAM) - optional

Guard Interval: it is the space between symbols being transmitted. The guard interval is there to eliminate inter-symbol interference which is referred to as ISI. ISI happens when echoes or reflections from one symbol interfere with another. Adding time between symbol transmission allows these echoes and reflections to settle in before the next symbol is transmitted. Default value for guard interval in 802.11 is 800 ns.


MCS (Modulation and Coding Set)는 802.11n보다 802.11ac에서 훨씬 간단합니다.
802.11ac는 802.11n과 달리 채널 폭 및 공간 스트림에 관계없이 10 개의 MCS 값만 갖습니다.
'n / a'필드는 작동하지 않는 변조, 코딩 및 채널 너비의 조합입니다.
802.11ac 송신 빔 형성은 모든 공간 스트림이 동일하게 변조 될 것을 요구한다.
802.11ac 1 차 장치에는 최대 3SS (공간 스트림)가 있습니다.

802.11ac의 필수 및 선택적 PHY 기능
VHT 프레임 형식 지원-필수
20, 40 및 80MHz 채널 지원-필수
단일 스트림 작업 MCS 0-7-필수
BCC (바이너리 컨볼 루션 코딩)-필수
160MHz 및 80 + 80Mhz 채널 작동-옵션
단일 스트림 작업 MCS 8 및 9-옵션
2, 3 및 4 스트림 지원 (4SS-Wave 2)-옵션
5-8 스트림 지원-옵션 (곧 구현되지 않을 것)
쇼트 가드 간격 (400ns)-옵션 (옵션이지만 광범위하게 지원됨)
LDPC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옵션
STBC (시공간 블록 코딩)-옵션
TxBF (전송 빔 포밍)-옵션
MCS 8 및 9 지원 (256 QAM)-옵션

가드 간격 : 전송되는 심벌 사이의 간격입니다. 가드 인터벌은 ISI로 지칭되는 심볼 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존재한다. ISI는 한 심볼의 에코 또는 반사가 다른 심볼과 간섭 할 때 발생합니다. 심볼 전송 사이에 시간을 추가하면 다음 에코가 전송되기 전에 이러한 에코 및 반사가 정착 될 수 있습니다. 802.11에서 보호 간격의 기본값은 800ns입니다.

 

 

Posted by 유영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