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BS 볼륨 확장방법

 

참고 : https://cloud.hosting.kr/ec2-ebs/

 

 

[볼륨 증설시간 참고]

기존 : 100GB
증설 : 100GB
결과 : 200GB

=> 100GB 증설하는데 1시간 30분정도 소요된것으로 판단.
=> AWS 기술문서에는 온라인중에 가능한 것 처럼 나와있지만, 실제 온라인상태에서는 디스크 매니져에 반영안됨.
서버를 재부팅하고 디스크에 확장 가능한 볼륨이 100GB나와 있음.
기존 드라이브에서 확장도 가능하고, 신규 드라이브를 만들어서 적용도 가능함.

Posted by 유영훈
,

[웹호스팅] 카페24 자동연장 결재 설정방법

1. CAFE24 로그인
2. 나의서비스관리 클릭
3. 좌측 메뉴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서비스 사용현황
* 보통 2번 과정에서 메인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음
4. 내가 신청한 아이디 목록 확인 : 자동연장할 아이디 대상인지 확인
5. 메인화면 : 서비스 사용현황 > 자동연장 설정 > '자동연장 설정' 클릭
* 현상태 : 자동연장 미사용
6. 자동연장용 신용카드 > 등록정보조회
* 등록완료 상태 : 신용카드 등록됨
7. 자동연장 사용여부 > '사용하기' 클릭
* 사용자 인증과정에서 비밀번호 입력
8. 완료
* 자동연장 서비스 신청정보 상태 : 연장방식 '자동연장(매월)', 결제예정일자 (0000.00.00', 신용카드 '0000-----0000'

Posted by 유영훈
,

[IT 180515] 이전버젼의 JDK 다운받는 위치


오라클 홈페이지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archive-139210.html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ava-archive-javase8-2177648.html

Posted by 유영훈
,

[IT일지 171231] 17년 마지막날까지 독서통신 시험 및 과제진행 (feat. MSSQL)




작년에도 그런것 같은데,

항상 독서통신때문에 마지막날까지 진행을 하였다.


이번에는 MSSQL2008 관련 내용인데,

개인 노트북을 딱 잡고 실습을 못하니 이곳저곳 설치만 하다가 시간을 버린 것 같다.

MSSQL 설치하는 것도 시간이 1시간 이상 꽤 걸리고, (OS버젼과 호환되고, 또 교재와 맞추기 위해서)

맞췄다하더라도 실습DB의 버젼 차이때문에 실제 완벽히 진행이 안되는 것도 배웠다.

아래 내용은 오늘 급하게 진행한 실습 세팅준비 공유이다.

구글링을 아무리 해보아도 윈도우8.1 쓰면서 내 교재로 진행한 고충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공유한다.


* 참고 : 사용한 교재

한빛아카데미,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실습 MSSQL Server 2008 개정판, 손광수 저





1. 세팅


윈도우8.1 에는 powershell과 .netframework가 기본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sql server만 설치하면 되는데, 교재의 2008은 윈도우8.1을 지원해주지 않아서

2012 express로 설치를 진행하였다.

이 2014는 리포트 기능이 없다.


그래서 우선 1개월차 과제를 끝내기 위해서 리포트 기능은 2개월차에 배우기 때문에

그 사실을 충분히 인지하고 계속 진행한다.


SSMS가 한번에 설치되지 않았다. 2개의 설치파일을 사용함. 순서는 위에서 아래.

SQLEXPR_x64_KOR

SQLManagementStudio_x64_KOR


* 다운받은 주소 :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42299





2. 실습준비


부록속의 SQL2008.AdventureWorks_All_Databases.x64 를 설치하였으나,

설치진행 과정 속에서 SQL2008이 없다는 오류가 떴지만,

원활한 실습(다른버젼은 내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을 위해서 강제 설치 진행함.


SSMS을 실행시켰으나, 제대로 연동이 안되는지 AdventureWorks가 안보임.

그래서 2014버젼을 설치하기 위해 다시 구글링 진행.


SqlLocalDB 도 설치해해봄 -> SSMS에 안뜨는 것 같음.

* 다운받은 주소 :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42299


Adventure Works 2014 Full Database Backup.zip 다운

* 다운받은 주소 : https://msftdbprodsamples.codeplex.com/releases/view/125550


AdventureWorks2014.bak : 백업파일로 제공이 되었음.

아래 경로에 복사 후, SSMS에서 복원하였음. -> 성공.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2.MSSQLSERVER\MSSQL\Backup




3. 결론

완벽한 실습진행은 못한다.

MS에서 제공하는 Adventure Works의 내용이 다르다.

테이블을 일일이 조회해서 해당 필드값들을 보고

센스있게 교재의 쿼리들을 진행해야한다.



Posted by 유영훈
,



[IT Tip #7] RDP Wrap (원격 데스크톱 연결 오류해결, win8)



잘되던 노트북 원격 데스크톱이 연결이 잘 안되서

주말에 2시간 넘게 계속 쌩고생을 했다..


구글링을 엄청해서 nvidia 부터 시작해서

별의별 설정들을 다 본 것 같다.


혹시나 해서 따라해본 것이 있었는데,

RDPWrap을 쓰는 것이 었다.


내 노트북도 리스닝이 되어 있지 않아서

업데이트를 한 후에, 다시 해보았더니 드디어.. 원격연결이 되었다!


개인 랩실 만들기의 1차 작업이 생각보다 오래 끌었지만.. 

이를 해결하고 잘 수 있어서 다행이다.


RDPWrap-v1.6.zip


Posted by 유영훈
,



[IT Tip #6] lockdir 비밀번호 설정 프로그램, 랜섬웨어로 알약 인식



이전 포스팅에서 lockdir를 소개했는데,

다른 외장하드에 동일하게 설정을 했더니

이번에는 알약에서 랜섬웨어로 의심된다고 프로그램을 차단하였다.


실질적으로 lockdir프로그램은 있고, 적용하는 프로세스까지는 진행되는데,

결과적으로 암호화가 걸리지는 않았다.


2~3번 더 시도해보았으나, 결과는 똑같았다.


그래서 어쩔수 없이 알약을 종료하고, 비밀번호를 다시 걸었는데

이때는 성공하였다.




여기서 배운점 2가지.



1. 알약이 랜섬웨어 방지에 어느정도 기여를 하는구나.

2. 랜섬웨어 공격자는 알약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세스만 종료시켜도, 사용자는 손쉽게 당할 수 있겠구나.

 (+ admin 계정을 탈취하면 더 손쉽게 할 수 있겠군. 등)

Posted by 유영훈
,

kafka

IT Studio 2017. 11. 28. 08:28


http://www.popit.kr/kafka-운영자가-말하는-처음-접하는-kafka/

'IT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redis 사용 유의점  (0) 2017.11.28
Posted by 유영훈
,


http://m.zdnet.co.kr/news_view.asp?article_id=20131119174125#imadnews

'IT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  (0) 2017.11.28
Posted by 유영훈
,

 

[IT일지 171119] phpMyadmin, XE, WordPress, owncloud, pydio 파일서버(클라우드) 설치

 

 

 

 

오늘은 Study For Us를 보면서

아래 작업을 진행하였다.

 

사실, 오늘의 목적은 오픈소스를 활용해서 무엇인가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생각과

기반 스킬을 키우기 위해서였다.

 

최초에는 CentOS에 구성을 해보려고 하였으나,

기존 iso파일이 Live버젼이어서 CentOS6.7을 다운받는 동안에

작업을 진행하려고 해보았는데,

IIS에 설치하다보니.. 나도 모르게 재밌고, 몇번 설치를 해보니

과정이 거의다 비슷해서 윈도우환경에서 오픈 솔루션들을 설치하고 사용하는데에 자신감이 생겼다.

 

물론, 이것을 관리 및 운영하는 것은 또 다른 포인트겠지만,

어쨌든 처음 활용하는 것들.

그리고 윈도우 환경에서 iis에 phpmyadmin을 설치해서 mysql을 gui환경에서 사용가능하였고,

여기에 데이터베이스 생성 후, 사용자도 생성하고, 이를 연결해놓은 다음에

각 오픈 소스들에서 데이터베이스 접속할 때, 해당 내용들을 입력해서 연동되게 하는 것들이 너무 재밌었다.

 

오늘 5시간정도 조용히 한자리에서 이것저것 해보았는데,

이러한 개인 스터디가 내 실력을 키워준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작업내용]

 

1. phpMyAdmin
1.1 설치
1.2 계정 및 데이터베이스 생성, 연결

 

 

 

2. XE
2.1 설치

 

 

3. WordPress

3.1 설치

 

4. owncloud
4.1 설치
 -> 윈도우는 더이상 지원안한다고 되어 있음.
 -> study for us 에 댓글로 남겨두었음.

 

5. pydio
5.1 설치
5.2 드래그 앤 드랍 테스트

 

Posted by 유영훈
,

[AWS #1] AWS 셀프 스터디 및 스마트폰 연동

 

 

 

AWS를 매일매일 꾸준히 셀프 스터디를 하고 있다

IT업계의 시대 흐름이기도 하지만,

회사 업무에서 당장 필요한 기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자기계발도 되면서 회사에 이익도 되는 업무이기때문에

업무처럼 안느껴져서 재밌다

 

 

셀프 스터디는

책을 한권 사서 차근차근 해나가고 있는데

생각보다 재밌고 편리하다

 

매번 AWS 세미나를 갈 때마다

'클릭 몇 번 만으로 서버를 생성하고 삭제 가능하다' 란 말이

클라우드 세계에서는 너무 식상하지 않냐는 생각이 많이 들었었다

세미나 발표자마다 그런 멘트를 하길래..

 

그렇지만, 내가 직접 사용해본 소감으로는

역시나 '클릭 몇 번 만으로'다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

정말 클릭 몇번만으로 서버를 생성하고 삭제 가능하니 말이다

다만, 정말 인프라적으로만 구축을 했다고 사용가능한 것이 아니니

인프라 구성이나 세팅을 위해 OS쪽도 꾸준히 스킬업 해나가야겠다.

당연히 리눅스 위주로.

 

 

추가로, 좀 재미있는 생각을 해봤다

1. AWS에서 Windows 서버로 만든 인스턴스를 내 스마트폰에 띠울수 있을까?

2. 그렇다면, 팀뷰어 같이 원격제어하는 어플말고, 정말 윈도우 피씨처럼 RDP(원격데스크톱연결)을 지원하는 어플이 있을까.

3. 지원하는 어플이 있다면, AWS EC2에 연결한 elastic ip로 연동 테스트를 해보자

 

결론적으로는 '가능하였다'

 

1. 어플명 : Microsoft Remote Desktop, Microsoft Corp.

2. 전제 조건 : AWS win EC2 & elastic ip 연동

3. 간략소개 : 아래내용

 

 

어플을 켜서 add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pc name 에 해당 인스턴스의 ip를 넣는다.

user name에는 저속가능한 계정을 넣는다.

그 밑에 additional options는 따로 기입안해도 된다.

 

 

 

아래는 추가된 그림이다.

이렇게 공인 ip와 해당 인스턴스의 바탕화면이 나와 구분이 가능하다.

원한다면 우측상단부의 '+'를 누르고 추가 가능하다

 

 

 

해당 바탕화면 그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연결할것인지 묻는게 나온다.

 

가볍게 connect를 누른다

 

 

 

 

그러면 우리들이 생성했던

ec2에 원격접속이 가능하다!

 

이론상으로는 당연히 되겠지하면서

한편으로는 aws 인스턴스를 내 스마트폰으로 볼수있다고??라는

생각을 가지면서 테스트를 해보아서인지 더 신기하고 재밌었다

 

 

 

나는 현재 AWS를 free tier로 윈도우 서버를 구축, 아니 생성해보았는데

최소용량인 30GB를 사용하고 윈도우 등 기본이 설치된 것을 보니 남은 용량이 대략 15~18GB되는것 같다.

혹시나 여행을 가거나 급하게 자료를 넣을 곳이 필요할 때 이용을 하면 꽤나 괜찮을 것 같다.

 

여기서 생기는 또다른 궁금증은

보통 우리가 PC상에서 RDP를 하였을 때

내 로컬의파일을 복사하고 ec2에 붙여넣기를 하면 복사가되는데

스마트폰으로 가능한지(또는 가능한 방법이 있는지)를 한번 확인해봐야겠다

 

만약 안된다면 테블릿이나 노트북을 이용하는 방법이 좋을 듯 싶다.

 

 

Posted by 유영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