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일이 되게 만든다는 것..

일을 하다보면 자연스레 실수 또는 잘못을 발견하게된다.
이때, 이 잘못이 누구냐를 따지는 일명 '누구의 잘잘못이냐'를 시작하는 순간 일의 지연성과 목표의 방향이 다르게 흘러갈 수 있다. (비록 그 순간만큼은 이것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그래도 어느정도의 잘잘못을 따질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야만 다음에는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테니..

그리고 같이 일하는 동료에게는 이러한 특성이 있으니, 다음에 비슷한 상황이 왔을 때, 내가 한번더 챙기거나, 준비해야겠다는.. 생각 등등.

그럼에도 너무 잘잘못 판단의 끝을 달리지는 말자.
서로의 의를 상하게 할뿐아니라, 우리는 이번일이 끝이 아니기 때문이다. 앞으로 수없이 많은 크고작은 문제와 잘잘못이 닥쳐올 것이다. 여러 경험으로 그 횟수가 줄어들지는 모르겠지만, 분명이 다가온다. 그리고 그때도 함께 이겨내야하므로 마지막 의는 상하지 않게하자. 불편한 진실에 마주하지 않도록.

Posted by 유영훈
,

크게 금융권은
은행, 보험, 증권으로 나눌 수있는데,
각 환경과 특성이 다른만큼
IT, 보안 기술적용의 초점이 다르다는 것을 알려준 책
Posted by 유영훈
,

 

[Unix #1] 기본적인 AIX 명령어 정리

 

 

기본적인 IBM의 AIX명령어 정리.

일부 공통 Unix 명령어 포함.

 

 

1. 호스트 네임

uname -n
uname -a (OS, Host, Ver, 
lsconf |pg
prtconf

 

2. 모델명

uname -M
lsconf |pg
prtconf

 

3. 시리얼 번호

uname -u
lsconf |pg
prtconf

 

4. OS 구분

uname

 

5. OS 버젼

oslevel -s

 

6. CPU 속도

prtconf
(Processor Clock Speed)
lsconf |pg

 

7. CPU Core 수

lsdev -Cc processor|wc -l
prtconf(number of processors)
lsconf |pg

 

 

8. 메모리

lsattr -El mem(n)
lsconf |pg
prtconf |grep Memory

 

9. 내장 Disk 수

lspv
lsdev -Cc disk

 

10. 디바이스 명

lspv

 

11. 내장 Disk 요량

bootinfo -s hdisk(n) (Mb단위)

lspv hdisk(n)
(TOTAL PPs)

 

12. RAID 구성방식

lsvg -l rootvg
(LPs, PPs의 값을 보고 RAID 판단)

 

13. 볼륨현황 - LV명

df -Pg
(Filesystem)
df -tg

 

 

14. 볼륨 - Mount Point

df -Pg
(Mounted on의 값)
df -tg

 

15. 전체 볼륨 할당량 / 사용량

df -Pg
(GB Blocks/Used)
df -tg

Posted by 유영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