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영훈입니다.

 

기타를 중학생 때부터 쳤으니깐, 지금까지 한 12년 이상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책 '아웃라이어'에서는, 하루 3시간 씩, 10년동안 1만 시간을 투자하면 그 분야에 전문가가 된다고 하는데,

저는 아직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제는 기타를 즐기면서 칠 수는 있게 된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아무리 실용음악 학원을 다니고, 학교 밴드를 하고, 버스킹을 준비한다 하더라도

전공하는 친구들과 대화를 하게 되면, 어느 선에서 한계를 느끼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제가 그 이유를 가만 생각해보니,

플레이적인 면에서는 '연습'만 열심히, 될 때까지 하면 되므로 같은 연습양을 전제로 하였을 때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타브 악보나 다른 사람들이 치는 것을 눈으로 따는 것이 아닌,

일정한 코드 진행만 나와 있는 악보를 보았을 때, 스케일로 친다거나, 다른 변형된 코드로 연주하는 것에서는

따라 갈 수가 없었습니다.

이는 저 뿐만 아니라, 다른 비전공자 기타리스트들이 느끼는 큰 공통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모든 것에는 기초 이론부터 화성학, 스케일 등 심화 이론까지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책들을 혼자사서 보기도 하였습니다.

 

 

<참고>

[1] 박철홍, 김은섭, "실전 연주를 위한 재즈화성과 즉흥연주", 예솔, 2008.

[2] 성강환, "블루스 기타 마스터", 아름출판사, 2001.

 

그런데, 책 내용들이 혼자공부하기에는 벅찬 부분이 있었습니다.

기초지식이 없으니 꾸준한 동기 유발이 가장 힘든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한번 찾아보자고 생각하였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교환레슨이었습니다.

 

아주 우연한 기회로 피아노를 전공하신 분에게 음악 이론을 배우고,

저는 그 분에게 기타의 기본에서 중급정도의 수준까지 가르쳐드리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한번씩, 꾸준하게 교환레슨을 하고 있는데,

기초적인 음 구성부터 코드 조합까지 조금씩 배워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래서 '이를 기타에 적용시켜서 저도 더 좋으면서 생각하는 플레이를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을

제 자신을 위해 잊지 않고, 쌓아갈 수 있게끔 연재를 하면서

이 정보들을 저와 같은 고민을 많이 하였던, 비전공자 기타리스트들에게 작은 팁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적습니다.

 

감사합니다.

 

'Music Studio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 #2] 장조, 단조, 기본 코드 구성법  (0) 2015.02.04
Posted by 유영훈
,

안녕하세요

유영훈입니다.

 

버스킹을 하기 위해서 많은 분들이 합주실 등에서 연습을 하고 계

 

십니다.

나도 재밌고. 함께 하는 멤버들도 재밌게 하는데.

과연 그 합주가 제대로 되고 있는 건지 궁금하실 때가 있지 않으신가요?

내가. 그리고 우리가 듣는 음악 말고. 제 3자가 들었을 때도 우리의 합이 제대로 맞는지 궁금하시 않은가요?

 

 

내가 녹음한 것. 도저히 못듣겠다

 

 

한번이라도 녹음을 해보신 분들은 모두 공감하실 건데요.

내가 기타나 다른 악기를 연주하였을 때는, 괜찮게만 들렸던 소리들이

왜이렇게 버징이 나고, 박자를 놓치고 하는건지..

 

그래서 제 3자가 되었다는 마음으로 듣고,

그 실수를 줄여나가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 '녹음'은 선택아닌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녹음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지는 것 같습니다.

1. 전문 레코딩 환경에서 녹음하기

2. 홈 레코딩 환경으로 집에서 녹음하기

3. 스마트폰 녹음 어플을 활용하기

 

여기서 제가 추천해드리는 방법은.

3번째인 스마트폰 녹음입니다.

 

1번은 연습이라기 보다는, 연습이 모두 끝나고 최종적으로 레코딩하여 음원을 내기 위함이겠고.

2번은 1번의 비용을 내기는 부담이 되겠고, 반프로를 지향하는 저같은 사람들이 집에서 환경을 구성하여,

녹음을 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2번은 합주실이 아닌 집에 이미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에 제한이 되어

합주를 할 때에는 적합한 방법은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3번인 '스마트폰 녹음'을 추천해드립니다.

저는 갤럭시 S5를 사용하는데요. 이 기본 어플만 사용하더라도 꽤 괜찮은 음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밴드가 아닌 버스킹 팀이므로, 드럼 등 출력이 상대적으로 큰 악기들이 없으므로,

노래나 기타 소리가 깔끔하게 잘 녹음이 되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은 우리가 어디를 가든 가지고 다니므로, 추가적인 녹음 장비들이 필요가 없고

추가 비용도 들지 않기 때문에 최고의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위 사진은 안드로이드 '녹음'이란 키워드를 검색하여 얻은 어플들인데,

'고급 음성 레코더'는 파일이 MP3형식으로 저장이 되어, 멤버들에게 전송하거나, 음악 어플로 재생하기에도

편리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저도 조금이나마 들을만 한 기타 연주를 위해 오늘도 녹음 어플과 함께 연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유영훈
,

안녕하세요

유영훈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버스킹을 위한 곡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봤는데요.

(참고 : [버스킹 #3] 버스킹 공연 곡 목록 정하는 방법http://hoonstudio.tistory.com/14)

 

곡을 한 곡씩 선정을 하고 나니깐, 막상 공연을 할 때에 어떠한 구성으로 진행을 해야 할지 망설여졌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은 '레퍼토리'를 정하기로 하였습니다.

 

레퍼토리를 정하기 위해서,

연습을 하는 10곡 이상의 곡들을 노트에 쓴다음, 빠른 곡은 (+), 느린 곡은 (-)로 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너무 느린 곡끼리, 또는 너무 빠른 곡끼리 모여서 청중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2개, 3개 씩 서로 섞어가면서

균형을 맞추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악동뮤지선 - 다리꼬지마(+)

Bill Withers - Just the two of us(+)

태양 - 눈.코.입(-)

아이유 - 미아(-)

자우림 - 샤이닝(-)

블락비 - 보기드문여자(+)

박진영 - 난 여자가 있는데(+)

.. 등등

 

이렇게 말이지요.

 

 

 

 

 

그 전글을 포함해서 요약을 하자면,

1. 멤버들끼리 선호하는 곡 목록 적기

2. 기타, 잼베, 노래로 충분히 공연할 수 있는 곡인지 정하기

3. 연습하면서 제대로 된 색이 나오지 않으면 제외

4. 빠른 곡은 (+), 느린 곡은(-)로 표시

5. (+)와 (-)를 적은 곡 목록을 분위기를 맞추며 레파토리를 정하기

입니다.

 

 

이렇게, 레퍼토리를 간단하게라도 한 번 정해두니, 좋은 효과가 생겼습니다.

그 효과는, 연습을 할 때에, 그 다음곡은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지 않아도 되어서 무척이나 편리하였답니다.

또한, 실전에서 공연하는 것과 같은 레퍼토리로 연습또한 진행을 하니,

 

실전과 같이 연습

 

을 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저희들도 그 레퍼토리를 외워서 공연을 할 기전에, 더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들도.

버스킹을 하기전에 이렇게 일정한 레퍼토리를 정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Posted by 유영훈
,